OTT이야기


애니메이션[리뷰] 영화 <내 몸이 사라졌다> (오마이뉴스)

페이지 정보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작성일21.09.18 13:22 32,410 6

본문

냉장고에 있던 '잘린 손', 이민 노동자의 현실

[리뷰] 영화 <내 몸이 사라졌다>

21.09.18 12:36최종업데이트21.09.18 12:36


내 몸이 사라졌다

▲ 내 몸이 사라졌다 ⓒ 넷플릭스


냉장고 문이 열렸다. 툭! 비닐 안에 밀봉되어 있던 잘린 손이 떨어졌다. 잠시 후 손은 움직이기 시작한다. 마치 살아있는 사람처럼 눈이 달리지도 않았는데 손가락을 움직여 혹여 사람들에게 들킬까 조심하면서 그 방을 탈출한다. '잘린 손'이라는 엽기적인 주인공, 하지만 손이 그 방을 탈출하기 전에 이미 이 영화를 보는 당신은 어느 틈에 손을 응원하고 있을 것이다. 마치 <미션 임파서블>의 주인공처럼 숨막히는 행보를 하는 잘린 손이 가고자 하는 곳은 어디일까? 

2020년 안시손국제애니메이션 영화제 앙드레마틴프랑스장편상, 세자르영화제 애니메이션상, 2019년 보스턴영화제 애니메이션상, LA비평가협회상, 뉴욕비평가협회상, 시체스국제영화제 오피셜판타스틱상, <내 몸이 사라졌다>의 수상 기록이다. 전 세계 영화제가 '잘린 손'의 무엇에 감동했을까? 

피아니스트가 되고 싶었던 손

뭉툭한 손, 하지만 지금은 해부학실 냉장고에 처박혔던 뭉툭하게 잘린 처지이다. 곧 그 흉측한 손은 한때 모래 장난을 하고, 피아니스트와 우주비행사를 꿈꾸던 소년의 어린 시절의 손으로 오버랩 된다. 지금처럼 손등에 점이 있던 오동통하던 아기의 손은 자라 서투르게 건반을 누르며 피아노를 치고 카메라의 셔터를 누른다.
 
"인생을 돌아다닌 내 더러운 발을 씻을 때 나는 손의 수고를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손이 물 속에 함께 들어가 발을 함께 씻긴다는 사실을 미처 생각하지 못하고
인생을 견딘 모든 발에 대해서만 감사했습니다.(중략)"

- 정호승 '손에 대한 묵상' 중에서.

손은 우리 몸의 부분, 그 중에서도 몸이란 실재의 실행을 담당하는 수단에 해당하는 부위다. 그런데 영화는 그 행위를 통해 존재를 설명한다. '나'라는 존재가 지금까지 '손'을 통해 해왔던 행동을 통해 일목요연 하게 정리된다. 사라진 몸의 주체, 그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무엇을 하는지 몰라도, 잠시 손을 스쳐간 기억만으로도 영화를 보는 이들은 그의 삶에 몰입한다. 삶이란 그렇게 지난 시간 그의 행위를 통해 이루어진 결과물들이다. 

하지만 이 영화의 주인공이 '잘린 손'인 이유는 그것만이 아니다. 첼리스트인 어머니, 아버지의 영향으로 소년은 피아니스트와 우주비행사의 꿈을 꿨다. 하지만 소년의 꿈은 한 순간의 교통사고로 부모님을 잃고 산산조각 나고 만다. 행복했던 가정의 사랑스런 외아들은 자신이 살던 곳을 떠나 프랑스 이민자 청년으로 피자 배달을 하는 신세가 되었다. 배달부 신세, 거기다 배달 일조차 능숙하지 않아 떼이는 처지에, 그 마저도 자신의 보호자인 사람에게 '삥' 뜯기는 신세다. 손을 통해 기억된 행복했던 과거는 이제 손으로 살아가는 이민 노동자의 현실로 이어진다.

그렇게 기억은 비둘기와의 혈투에서 시작해 첩보 영화를 방불케 하는 쓰레기장, 지하철, 아파트로 잘린 손의 여정으로 계속해서 나아간다. 온갖 오물들로 범벅이 된 손이 욕조에 자신을 던질 때, 그리고 눈먼 피아니스트가 연주하는 피아노 위에 하릴없이 앉아있을 때, 그건 잘린 손의 여독이자 일용직 노동자로 부유하던 청년의 삶의 피로로 고스란히 전달된다.

꿈이 생긴 이민자 청년 나오펠

하루 벌어 하루를 살던 이민자 청년 나오펠, 그는 우연히 늦은 밤 피자를 배달하러 간 아파트에서 도서관에서 일하는 가브리엘라를 만난다. 그리고 그녀를 향한 마음을 계기로 찾아간다. 가브리엘라에게 마음을 빼앗긴 그는 다짜고짜 가브리엘라의 아저씨가 하는 목공소의 조수 일을 자청한다. 나오펠의 처지를 안쓰럽게 여긴 아저씨 덕분에 새로운 보금자리와 새로운 일, 그리고 꿈이 생긴다.

피자 배달을 하며 실수를 하지 않는 게 하루의 목표였던 나오펠은 가브리엘라를 통해 도서관에 책을 빌리고 목공을 배웠다. 그리고 자신이 살던 옥탑방 건너 폐건물 옥상에 '나무로 만든 이글루'를 완성한다. 알래스타 혹한을 피하던 이글루가 이민자로 하루를 근근히 살아가던 나오펠의 첫 작품이었다. 하지만 동시에 그 이글루는 좌절의 시작이기도 하다. 가브리엘라에게 수줍게 고백을 하려하던 나오펠, 하지만 그녀와 어긋남이 그가 애써 가꾸려던 현재의 꿈을 산산조각내고 만다. 그 결과가 바로 '잘려진 손'의 험난한 여정이다.

영화 <내 몸이 사라졌다>는 사실 역설적인 제목이다. 손이 갖은 고난을 겪으며 도착한 곳, 그곳에 이르면 관객들은 사라진 것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다. 손을 상실한 이민자 청년, 행복했던 가정에서 피아노를 치며 미래를 꿈꾸던 아이는 손으로 벌어먹고 사는 노동자로서의 존재마저 잃었다.

결국 그는 자신을 증명할 그 무엇도 남지 않은 것일까? 손의 열정적인 여정 만큼이나 안타까움을 더해주는 나오펠이란 청년의 좌절, 그러나 영화는 거기서 멈추지 않는다. 영화의 마지막 건물 벽에 새겨진 그래피티처럼, 나오펠은 도약한다. 손은 상실했지만 몸은 여전히 이곳에 존재한다. 정신분석학에서 좌절은 새로운 시작을 위한 기회라고 말한다. 나오펠에 닥친 좌절, 그는 파리처럼 내내 자신의 주변을 맴돌던 연민 어린 과거를 끊어내고 비로소 도약한다. 여전히 그는 이곳에 살아있다. 잘린 손의 여정도 마무리된다. 

영화는 '잘린 손'이라는 역설적 존재를 통해 프랑스 사회에서 아웃사이더가 된 이민자 청년의 삶을 살핀다. 그리고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자기 삶의 이유를 놓친 이들을 살핀다. 소수자의 시선을 넘어 인간 보편의 이야기를 담은 <내 몸이 사라졌다>는 이국의 청년을 통해 결국 우리라는 존재에 닿는다.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3-02-22 10:45:01 자유게시판에서 복사 됨]
추천 0

댓글목록

OTT이야기


OTT이야기 목록
번호 추천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정보 OTT 계산기 (각종 OTT 서비스 비교, 월 지출금액 계산) 공개합니다! no_profile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13 2.4K
공지 공지 이 곳에 가입인사 작성을 금합니다. no_profile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2-07 3.8K
공지 3 기기 [이벤트] OTT포럼 오픈 기념, 나의 OTT를 자랑해보세요. 댓글3 no_profile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20 4.9K
공지 5 자유 OTT 포럼을 오픈하였습니다. 댓글12 no_profile 최고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20 4.8K
299 다큐멘터리 소위 '관종'이 끼어든 살인사건,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 (오마이뉴스)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07-06 62.4K
298 다큐멘터리 시대를 풍미한 영화들의 더 영화 같은 제작 뒷이야기 (한국일보) 댓글1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08-28 60.4K
297 다큐멘터리 ‘그림을 그립시다’ 밥 아저씨…사실은 ‘19금 드립’ 선수였다 [왓칭] (조선일보) 댓글2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09-02 44.6K
296 다큐멘터리 코로나, 이 미친 바이러스와 어떻게 살아야 하죠? [OTT네비] (한국경제) 댓글1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08-22 41.3K
295 다큐멘터리 15분마다 8천톤 생산하는 플라스틱... 해결 방법은 '이것' (오마이뉴스) 댓글2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05-24 38.9K
294 다큐멘터리 꼬리 길어도 안 잡혔던 마약왕… ‘배금주의’ 미국의 민낯 (한국일보) 댓글1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08-21 37.7K
293 다큐멘터리 영화감독이 꿈이었는데... 촬영 필름이 몽땅 사라졌다 (한국일보) 댓글9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09-18 36.5K
292 1 다큐멘터리 사진 한 장 때문에... 저는 소셜미디어를 끊었습니다 (오마이뉴스)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07-08 36.4K
291 다큐멘터리 MBC 다큐를 넷플릭스에 싣는다면 (단비뉴스) 댓글1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09-20 36K
290 다큐멘터리 안산에게 패한 이 선수의 말에 주목한 이유-다큐 [레이디스 퍼스트:내일을 향해 쏴라 (오마이뉴스) 댓글2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08-13 35.2K
애니메이션 [리뷰] 영화 <내 몸이 사라졌다> (오마이뉴스) 댓글6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09-18 32.4K
288 다큐멘터리 소비 사회를 향한 경종, 넷플릭스 다큐 ‘미니멀리즘’ (이투데이) 댓글1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06-12 30.9K
287 다큐멘터리 히틀러, 독일인의 절대 지지 어떻게 이끌었을까 (여수넷통뉴스)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2-07-19 28.9K
286 다큐멘터리 히틀러, 독일인의 절대 지지 어떻게 이끌었을까 (여수넷통뉴스)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2-07-19 28.8K
285 애니메이션 코코 완전 재미 있네요. 댓글5 no_profile 화랑비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11-15 28K
284 다큐멘터리 기자가 직접 보고 추천하는 환경 다큐 TOP 5 (뉴스펭귄) 댓글7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08-27 27.3K
283 다큐멘터리 마추픽추·나스카라인·아마존... 인류의 보물을 지키는 방법 (오마이뉴스)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07-20 26.8K
282 다큐멘터리 “타깃 유형 바꾼 유영철, 보기 드문 연쇄살인범이라 주목” (중앙일보)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11-08 25.7K
281 다큐멘터리 각 가정에 변기를 제공했더니... 이후 벌어진 놀라운 변화 (오마이뉴스) no_profile 숲속의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06-27 25.4K
280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카테고리가 생겼네요~ 댓글4 no_profile non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신고 회원메모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movieli.st 21-09-09 24.5K
게시물 검색
  • 주간 조회수
  • 주간 베스트
hdhomerun 대체재 같은데 이거 어때요? 가격도 싸네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전체 메뉴
추천 사이트